알부민(Albumin)은 간에서 생성되는 주요 혈액 단백질로,
혈액 내 수분 균형과 영양 상태 유지, 약물 운반 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특히 병원에서는 수술 후 회복기, 저알부민혈증, 쇼크 상태, 간질환 등 다양한 상황에서 알부민 주사제(수액) 형태로 사용되며,
단백질 보충의 일환으로 영양제나 보충제 형태로도 복용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.
하지만 알부민도 모든 사람에게 100% 안전한 건 아니며,
특정 상황에서는 부작용이나 주의사항이 반드시 따릅니다.
알부민 주사(수액) 투여 시 주의해야 할 주요 부작용
부작용 유형 | 주요 증상 및 반응 예시 |
---|---|
과민 반응 | 발진, 가려움, 두드러기, 호흡곤란, 혈압 저하 등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|
체액 과다 | 폐부종, 고혈압, 호흡 곤란 등 (심부전 환자에게 위험) |
혈전증 가능성 | 혈액 농축으로 인해 드물게 혈전 형성 위험 |
감염 가능성 | 드물지만 인체 유래 혈액 제품일 경우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 |
※ 특히 신장질환, 심부전, 탈수 상태가 심한 환자에게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.
알부민 보충제(경구용) 복용 시 주의사항
건강보조식품 형태로 나오는 알부민 보충제는 대부분 달걀 흰자, 유청 단백질, 소혈청 등에서 유래된 고단백 성분이 포함됩니다.
과다 복용하거나 알레르기 체질일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가능 부작용 | 설명 |
---|---|
소화 불편감 | 위 팽만감, 설사, 메스꺼움 등 |
단백질 과다 | 신장에 부담, 고단백 식단과 병행 시 주의 |
알레르기 반응 | 유당불내증, 유제품·계란 알레르기 있는 경우 주의 |
이런 경우엔 알부민 주의 또는 금기
-
만성 신부전 환자
-
심한 고혈압 또는 울혈성 심부전 환자
-
단백질 과잉 섭취 중인 경우
-
알부민제에 대한 과민반응 이력이 있는 경우
알부민 투여 또는 복용 전,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
확인 항목 | 설명 |
---|---|
현재 기저질환 유무 | 심장질환, 신장질환, 간질환이 있는지 확인 |
복용 중인 약물 여부 | 혈압약, 이뇨제, 항응고제 등과의 상호작용 가능성 |
알레르기 병력 | 계란, 우유, 인체유래 단백질 알레르기 이력 |
최근 체액 상태 | 탈수 또는 부종 여부 확인 필요 |
Q&A 자주 묻는 질문
Q. 알부민 수액을 맞았는데 숨이 차요. 부작용일까요?
A. 네, 폐부종이나 체액 과다일 수 있습니다. 즉시 병원에 알려야 합니다.
Q. 알부민 보충제를 꾸준히 먹어도 되나요?
A. 특별한 질환이 없고 적정량을 유지한다면 가능하지만, 신장이나 간이 약한 분은 주의가 필요합니다.
Q. 알부민 수치는 낮은데 주사 맞기 전 꼭 검사가 필요한가요?
A. 네, 수치만 보고 투여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전체적인 임상 상태를 보고 결정해야 합니다.
Q. 단백질 보충만으로도 알부민 수치가 오를 수 있나요?
A. 영양 결핍이 원인일 경우 가능하지만, 간이나 신장의 기능이 떨어졌다면 주사 또는 치료가 병행돼야 합니다.
면책 조항
본 콘텐츠는 일반적인 의학 및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,
개인의 진단이나 치료 결정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.
알부민 주사 또는 보충제 복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0 댓글
질문은 환영! 욕설, 홍보설 댓글은 삭제됩니다!